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과학으로 풀어본 마늘(Garlic)의 효능

식품과 건강

by nobleyoon 2020. 4. 16. 11:39

본문

사람들이 건강에 관심이 많아 지면서 건강 기능성 식품을 많이 소비하고 있지만 그 효과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건강 기능성 식품들의 효과에 대해 논쟁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마늘의 경우는 조금 다르다. 마늘이 우리 건강을 향상 시키는 효능에 대해 반대를 할 사람은 아마도 별로 없을 것이다. 마늘이 우리 건강에 도움 된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알고 있지만 어디에 어떻게 좋은지는 잘 모르고 있다. 현재 까지 마늘의 효능에 대해 연구하여 발표된 논문이 무려 3000개가 넘는다. 따라서 마늘의 효능에 대해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과학적 자료는 거의 마련되었다고 보아야 한다.


마늘은 5000년이 넘게 식품뿐만 아니라 약용 목적으로 사용해 왔다. 마늘(학명: Allium sativum)은 주로 한국, 이집트, 터기, 이란 등에서 생산되고 있지만 마늘의 효능에 대한 연구는 마늘 생산 주요국가들 외에도 많이 진행해 왔다.



마늘의 기능성 성분

 

마늘에는 의학적으로 좋은 효능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마늘에는 황 성분(organosulfur compounds; OSC)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OSC에는 알리인(alliin; S-allylcysteine sulfoxide)을 포함되어 있다(Amagase, 2006). 알리인은 효소(alliinase)에 의해 마늘 특유의 향을 내는 알리신(allicin)으로 전환된다. 알리신은 다시 diallyl sulfide, diallyl disulfide, diallyl trisulfide, diallyl tetrasulfide로 전환된다. 이러한 성분들이 마늘이 여러 가지 효능을 자지게 하는 기능성 성분들이다.



면역력 향상(boosting immune system)

 

마늘을 실험용쥐에게 투여하거나 사람이 섭취하게 되면 면역체계를 제어하여 면역력을 향상시킨다(Abdullah , 1989; Kyo et al., 2001; Lau et al., 1991). 마늘은 체내에서 면역체계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림프구(lymphocytes)와 다양한 cytokine들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대식세포(macrophage), NK(natural killer) cells,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 호산구(eosinophils)활성화 하여 면역력을 향상 시킨다(Arreola , 2014; Morioka , 1993). 이러한 면역력 향상이 마늘의 다양한 효능(항암, 항알레르기, 항염증, 항바이러스 등)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항암(anti-cancer)

 

마늘은 셀레니움(selenium)과 사포닌(steroidal saponins)를 다량 포함하고 있는데 이 성분들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ArnaultAuger, 2006). 또한 실험용쥐에 마늘 OSC를 투여하였을 때 암세포 증식이 멈추고 암세포가 사멸되는 것이 관찰되었다(PowolnySingh, 2008; ShuklaKalra, 2007). 장기간 동안 역학조사를 실시하였을 때도 마늘을 꾸준히 섭취할 경우 대장암과 위암에 걸릴 확률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FleischauerArab, 2001). 또한 수 많은 역학적(cohort study) 연구결과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보았을 때도 마늘이 대장암과 위암 발생의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SchaferKaschula, 2014). 그 외에도 동물실험에서 마늘 섭취가 방광, 식도, 폐에 생긴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Lau , 1986; Sparnins , 1986; Wargovich , 1988). 흑마늘의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도 일부 이루졌는데 흑마늘에 있는 S-allyl-L-cysteine’이라는 성분에 의해 섬유육종(fibrosarcoma)을 가지고 있던 실험용쥐들 중에 약 50%가 치료되었다(Wang , 2010). 또한 미국의 The U.S. National Cancer Institute는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우리가 먹는 식품들 중 암예방에 가장 좋은 식품은 마늘이라고 발표했다(Caragay, 1992). 여러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마늘의 항암효과는 분명한 것으로 보이고 특히 위암이나 대장암에 대해서 더욱더 그러한 것 같다.



항균효과(anti-microbial effect)

 

마늘의 알리신 성분이 세균, 병원성 효모(캔디다), 원충류 기생충들에 대한 생장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항균효과가 있다(AnkriMirelman, 1999). 이러한 효과 때문에 식도에 세균의 감염, 진균류(곰팡이, 효모)감염 치료에 마늘이 효과적인 것으로 최근 연구를 통해 나타났다(Rivlin , 2017). 마늘은 여러 항생제에 내성(다재내성)을 가지고 있는 세균들에 대해서도 사멸 효과를 가지고 있다. 특히 사람의 폐에서 증식하는 세균들(Pseudomonas, Staphylococcus)에 대해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다(Reiter , 2017). 그리고 식중독을 발생시키는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도 마늘 추출물에 의해 사멸되었고(Wolde , 2018), 식품에서 곰팡이 독소를 생성하거나 변질의 원인이 되는 곰팡이들(Aspergillus flavus, Penicillium expansum )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Fufa, 2019).



항바이러스(anti-viral effect)

 

최근 들어 사람에게도 축산분야에서도 바이러스에 의한 피해가 너무나 크다. 식품에 포함되어 있는 기능성 물질들 중 바이러스의 유전자 복제나 단백질 생산을 억제하여 최종적으로 증식을 억제 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색소이다(Harazem , 2019). 마늘이 안토시아닌(anthocyanins)이나 플라바놀(flavanols)과 같은 플라보노이드 색소를 다른 식품들에 비해 많이 함유하고 있어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Slimestad , 2007). 이 외에도 마늘에 알리신, 디알릴 3황화물(diallyltrisulfide), 아존(ajoene) 성분도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효과가 있다(Hughes , 1989; Weber , 1992). 이러한 성분들 때문에 마늘이 실질적으로 인플루엔자(influenza) AB 감염예방에 효과적이며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리노바이러스(rhinovirus; 코감기 원인), herpes simplex virus 1, herpes simplex virus 2, 바이러스성 폐렴, rotavirus, 일반감기 바이러스 감염예방에 효과가 있다(Fenwick , 1985; Josling, 2001; Meng , 1993; Nai-Lan , 1993; Tsai , 1985; Weber , 1992).

 

 

항알레르기(anti-allergy)

 

알레르기는 체내의 면역체계가 교란되어 발생하게 되는데 두드러기 등과 같은 알레르기 증상은 면역체계에서 생산되는 히스타민(histamine)에 의해 나타난다. 그래서 알레르기 반응이 있을 때 항히스타민제를 처방하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히스타민은 비만세포(mast cell)에서 분비되는데 히스타민의 분비를 유도해내는 물질이 Beta-hexosaminidase인데 실험용 쥐에 마늘을 투여하였을 때 이 Beta-hexosaminidase 분비가 억제되어 알레르기 증상이 억제되었다(Tanaka 1992). 이뿐만 아니라 호염구(basophil; 백혈구의 일종)도 알레르기 반응에 관련 있는데 마늘이 이 호염구를 제어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Kyo , 1997). 마늘은 이 외에도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면역물질들을 제어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Hsieh , 2019; Kyo , 2001).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심혈관계질환에 밀접하게 관련된 것 중 하나가 혈중 콜레스테롤인데 46명의 사람에게 마늘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도록 하였을 때 혈중의 총콜레스테롤, triglyceride 농도가 감소되는 결과를 얻었었다(BanerjeeMaulik, 2002). 그리고 현재까지 심혈관계질환에 대한 마늘의 효능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분석(메타분석)하였을 때도 혈중의 총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로 인해 혈압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VarshneyBudoff, 2016; QidwaiAshfaq, 2013). 또한 다양한 임상실험결과에서도 마늘이 혈중 지질농도를 낮추고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QidwaiAshfaq, 2013).

 

 

항염증(anti-inflammation)

 

많은 질병이 체내에 염증에서 시작되는데 마늘이 이러한 염증반응을 억제 시키는 효과가 있다(Hodge , 2002). 마늘 추출물을 실험용쥐에 투여하였을 때 염증 발생을 억제하였을 뿐만 아니라 활성산소(ROS; reactive oxygen species)도 억제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BadrAl-Mulhim, 2014). 마늘의 항염증 효과에 대하여 연구한 여러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보았을 때 체내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면역물질들(NO, TNF-α, IL-1)의 생성이 억제되어 염증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Shang , 2019).

 


맺음말

 

마늘은 우리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오랫동안 섭취해온 안전한 식품이다. 그리고 마늘의 효능에 대해 무수한 연구들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마늘은 위에서 서술한 효능들을 가지고 있다고 보아야 하고 마늘 섭취가 우리 건강을 증진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참고문헌


Abdullah TH., Kirkpatrick DV, Carter J. 1989. Enhancement of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AIDS with garlic. Dtsch. Z. Onkol. 21: 52-53.

 

Amagase H. 2006. Clarifying the real bioactive constituents of garlic. J. Nutr. 136: 716-725.

 

Ankri S, Mirelman D. 1999. Antimicrobial properties of allicin from garlic. Microbes Infect. 1: 125-129.

 

Arnault I, Auger J. 2006. Seleno-compounds in garlic and onion. J. Chromatogr. A, 1112: 23-30.

 

Arreola R, Quintero-Fabián S, López-Roa RI, Flores-Gutiérrez EO, Reyes-Grajeda JP, Carrera-Quintanar L, Ortuño-Sahagún D. 2014. Immunomodula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arlic compound. Clinical. Exp. Immuno. 2015. DOI: 10.1155/2015/401630.

 

Badr GM, Al-Mulhim JA. 2014. The protective effect of aged garlic extract on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induced gastric inflammations in male albino rats. Complementary Alt. Med. 2014. Article ID759642.

 

Banerjee SK, Maulik SK. 2002. Effect of garlic on cardiovascular disorders: a review. Nutr J. Nutri. J. 1. DOI: 10.1186/1475-2891-1-4.

 

Caragay AB. 1992. Cancer-preventive foods and ingredients. Food Technol. 4: 65-68.

 

Fenwick GR, Hanley AB, Whitaker JR. 1985. The genus allium- part 1. Crit. Rev.Food Sci. Nutr. 22: 199-271.

 

Fleischauer A, Arab L. 2001. Garlic and cancer: a critical review of the epidemiologic literature. J. Nutr. 2001: 1032S-1040S.

 

Fufa BK. 2019.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properties of garlic extract (Allium sativum): A review. Microb. Res. J.Int. 28. DOI: 10.9734/mrji/2019/v28i330133

 

Harazem R, Rahman S, Kenawy A. 2019. Evaluation of antiviral activity of Allium cepa and Allium sativum extracts against Newcastle disease virus. AJVS. 61: 108-118.

 

Hodge G, Hodge S, Han P. 2002. Allium sativum (garlic) sup-presses leukocyte in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vitro:potential therapeutic use in the treatment of inammatorybowel disease. Cytometry 48: 209215.

 

Hsieh C, Peng WH, Tseng HH, Liang SY, Chen LJ, Tsai JC. 2019. The Protective role of garlic on allergen-induced airway inflammation in mice. American J. Chinese Med. 47: 1099-1112.

 

Hughes B, Murray B, North J, Lawson L. 1989. Antiviral constituents from Allium sativum. Planta Med. 55: 114-114.

 

Josling P. 2001. Preventing the common cold with a garlic supplement: a double-blind, placeb. Adv. Ther. 18: 189-193.

 

Kyo E, Uda N, Kakimoto M, Yokoyama K, Ushijima M, Sumioka I, Kasuga S, Itakura Y. 1997. Anti-allergic effects of aged garlic extract.Phytomedicine. 4: 335-340.

 

Kyo E, Uda N, Kasuga S, Itakura Y. 2001. Immunomodulatoryeffects of aged garlic extract. supplement of conference:recent advances on the nutritional effects associated withthe use of garlic. J Nutr 131: 1075s1079s.Lau BHS, Yamasaki T, Gridley DS. 1991. Garlic compoundsmodulate macrophage and T-lymphocyte functions. MolBiother 3: 103107.

 

Lau BHS, Woolley JL, Marsh CL, Barker GR, Koobs DH, Torrey RR. 1986. Superiority of intralesional immunotherapy with Corynebacterium parvum and Allium sativum in control of murine transitional cell carcinoma. J. Urol. 136: 701-705.

 

Meng Y, Lu D, Guo N, Zhang L, Zhou G. 1993. Anti-HCMV effect of garlic components. Virol. Sin. 8: 147-150.

 

Morioka N, Sze LL, Moron DL, Irie RF. 1993. A protein fractionfrom aged garlic extract enhances cytotoxicity and pro-liferation of human lymphocytes mediated by IL-2 andconcanavalin A. Cancer Immunol Immunother 37: 316322.

 

Nai-Lan G, Cao-Pei L, Woods GL, Reed E, Gui-Zhen Z, Li-Bi Z, Waldman RH. 1993., Demonstration of antiviral activity of garlic extract against human cytomegalovirus in vitro. Chin. Med. J. 106: 93-96.

 

Powolny A, Singh SV. 2008. Multitargeted prevention and therapy of cancer by diallyl trisulfide and related allium vegetable-derived organosulfur compounds. Cancer Lett. 269: 305-314.

 

Qidwai W, Ashfaq T. 2013. Role of garlic usage in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Evid-Based Compl. Alt. 2013. DOI: 10.1155/2013/125649.

 

Reiter J, Levina N, Linden MV, Gruhlke M, Martin C, Slusarenko AJ. 2017. Diallylthiosulfinate (allicin), a volatile antimicrobial from garlic (Allium sativum), kills human lung pathogenic bacteria, including MDR strains, as a vapor. Molecules. 22. DOI: 10.3390/molecules22101711

 

Rivlin. 2001.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Use of Garlic. J. Nutri. 131: 951S-954S.

 

Sasaki J, Lu C, Machiya E, Tanahashi M, Hamada K. 2007. Processed black garlic (Allium sativum) extracts enhance anti-tumor potency against mouse tumors. Medicinal and Aromatic Plant Science and Biotechnology. 1: 278-281.

 

Schäfer G, Kaschula CH. 2014. The immunomodula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arlic organosulfur compounds in cancer chemoprevention. Anti-Cancer Agents. Me. 14: 233-240 233.

 

Shang A, Cao S-Y, Xu X-Y, Gan R-Y, Tang G-Y, Corke H, Mavumengwana V, Li H-B. 2019. Bioactive compounds and biological functions of garlic (Allium sativum L.). Foods 8. DOI:10.3390/foods8070246.

 

Shukla Y, Kalra N. 2007. Cancer chemoprevention with garlic and its constituents. Cancer Lett. 247: 167-181.

 

Slimestad R, Fossen T, Vågen IM. 2007. Onions: a source of unique dietary flavonoids. J. Agri.Food Chem. 55: 10067-10080.

 

Sparnins VL, Mott AW, Barany G, Watterberg LW. 1986. Effects of allylmethyl trifulfide on gluththione S-transferase activity in bp-induced neo-plasia in the mouse. Nutr. Cancer. 8: 211-215.

 

Tanaka Y, Kataoka M, Konishi Y, Nishimune T, Takagaki Y. 1992. Effects of vegetable foods on β-hexosaminidase release from rat basophilic leukemia cell (RBL-2H3. Jpn. J. Toxicol. Environ. Health. 38: 418-424.

 

Tsai Y, Cole LL, Davis LE, Lockwood SJ, Simmons V, Wild GC. 1985. Antiviral properties of garlic: in vitro effects on influenza B, herpes simplex and coxsackie viruses. Planta Med. 5: 460-461.

 

Varshney R, Budoff MJ. 2016. Garlic and heart disease. J. Nutr. 146. 416S-421S.


Wang D, Feng Y, Liu J, Yan J, Wang M, Sasaki J, Lu C. 2010. Black garlic (Allium sativum) extracts enhance the immune system. Med. Aromatic Plant Sci. Biotechnol. 4: 37-40.

 

Weber N, Andersen D, North J, Murray B, Lawson L, Hughes B. 1992. In vitro virucidal effects of Allium sativum (garlic) extract and compounds. Planta Med. 58: 417-423.

 

Wolde T, Kuma H, Trueha K, Yabeker A. 2018. Anti-bacterial activity of garlic extract against human pathogenic bacteria. J. Pharmacovigilance. 6. DOI: 10.4172/2329-6887.1000253.


Wrgovich MJ, Woods C, Eng VWS, Stephens LC, Gray K. 1988. Chemoprevention of N-nitrosomethyl-benzylamine-induced esophageal cancer in rats by the naturally occurring thioether, diallyl sulfide. Cancer Res. 48: 6872-6875.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