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아가면서 살이 찌는 이유는 유전적인 원인, 신경내분비 원인, 과식(식이성 원인) 등의 다양한 원인이 있는데 이 중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비만의 원인은 과식 즉 영양과잉 및 활동량 감소이다(Hansen, 2001). 영양과잉에 의한 체중증가 시작은 보통 25세에서 34세 사이에 많이 발생한다(Andres 등, 1985). 왜냐하면 이 시기부터 기초대사량[생존(심장박동, 호흡, 체온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의 감소가 시작하여 지방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쉽게 이야기하면 먹는 양은 변함이 없어도 기초대사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살이 찌는 것이다. 살이 찌는 것을 막기 위해 운동량을 증가시키고 먹는 것을 조절하여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최근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의 섭취도 다이어트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어 과학적인 근거들을 바탕으로 그 가능성을 정리해 보았다.
프로바이오틱스란 섭취했을 때 건강을 증진 시켜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을 말한다. 쉽게 말해 김치나 요구르트에 있는 젖산균이 프로바이오틱스다. 프로바이오틱스에는 다양한 세균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 중 가장 흔한 세균이 Lactobacillus(락토바실러스 균, 젖산균의 일종, ‘L.’ 로 표시)와 Bifidobacterium(비피도균, ‘B.’ 으로 표시)인데 이 세균들이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동물실험과 인체적용실험들을 통해 확인 되었다(Cani, 2008; Teixeira 등, 2013).
프로바이오틱스의 다이어트 효과
Effect of probiotics on obesity
12주 동안 비만인 사람 87명에게 L. gasseri SBT2055가 들어 있는 발효유를 제공하였을 때 몸무게가 감소하였고 내장지방의 양도 감소하였다(Kadooka 등, 2010). L. rhamnosus GG를 고열량 식이를 하여 비만을 유도한 실험용쥐에 13주 동안 투여했을 때 체내 지방축적이 감소하였다(Kim 등, 2013). Ivey외 과학자들이 프로바이오틱스의 다이어트 효과에 대해 연구된 논문들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L. gasseri L66-5와 L. rhamnosus GGMCC가 몸무게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일균주도 효과가 있지만 몇 개의 균주를 혼합하여 섭취하였을 때도 다이어트 효과가 나타났고 혼합 프로바이오틱스(L. acidophillus La5, B. lactis Bb12, L. casei DN001)를 비만인 사람들에게 8주 동안 요구르트 형태로 섭취하게 하였을 때 체지방이 감소 하였다(Ivey 등, 2012; 2015). 이 외에도 여러 연구에서 프로바이오틱스가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프로바이오틱스의 효능을 증가시키는 성분[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을 함께 공급하면 다이어트 효과가 더욱 증가한다는 것을 입증한 연구결과들이 있어 같이 살펴볼 필요가 있다.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프리바이오틱스의 개념은 1995년에 처음 제안되었는데 프리바이오틱스는 탄수화물 중 장내세균의 구성을 변화시키고 결과적으로 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것을 말한다(Roberfroid 등, 2010). 비피도균 같은 경우 이눌린(inulin)과 같이 섭취하게 되면 장내에서 비피도균의 균수가 더욱 증가하였다(Roberfroid 등, 2010). 모유에는 올리고당(oligosaccharides)이 풍부한데 태아가 모유의 올리고당을 섭취함으로 인해 장내에 비피도균 균수가 증가하게 된다(Nathalie 등, 2011). L. gasseri의 경우도 이눌린, 갈락토만난(galactomannan)과 같은 식이성 섬유를 함께 섭취하였을 때 체중증가에 대한 억제 효과가 더욱 증가 하였다(Ferrarese 등, 2018). 또한 프룩토 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s), 이눌린, 갈락토만난, 갈락토 올리고당(glactooligosaccharide)과 락토바실러스균, 비피도균을 함께 섭취하였을 때 다이어트 효과가 더욱 증가하였다(Parekh 등, 2014). 그 외에도 트레할로스(trehalose), 탈지유(skim milk)를 캡슐 형태의 L. gasseri BRN17와 함께 비만인 사람 57명에게 섭취하게 했을 때 몸무게와 허리둘레가 감소하였다(Jung 등, 2013). 프로바이오틱스 균주(L. casei, L. rhamnosus, S. thermophilus, B. breve, L. acidophilus, B. longum, L. bulgaricus)를 혼합하여 70명의 비만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프룩토 올리고당을 함께 섭취하게 했을 때 몸무게와 허리둘레가 감소하였다(Safavi 등, 2013). 프로바이오틱스 자체만으로 다이어트 효과가 있었지만 프리바이오틱스와 함께 섭취되었을 때 그 효과가 더욱 분명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를 합하여‘ 신바이오틱스(synbiotics)’라 부르는데 최근 신바이오틱스의 다이어트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상품으로도 판매가 되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 신바이오틱스가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이유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큰 원인은 신바이오틱스에 의한 장내세균들의 변화를 원인으로 보고 있다.
장내세균과 비만
Relationship between gut microbiota and obesity
히포크라테스는 ‘모든 질병은 장에서부터 시작된다(All disease begins in the gut)’고 하였다. 이 명언에서도 알 수 있지만 우리도 살아가면서 장이 건강에 중요하다는 것은 알고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장내에 사는 세균과 비만과 상관이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발표가 되고 있다(Parekh 등, 2014; Principi 등, 2017; Turnbaugh 등, 2006). 이것이 가능한 것은 먹는 음식에 따라 장내에 사는 세균들이 달라지기 때문이고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를 섭취하면 장내세균의 변화가 확실하게 나타난다(Hemarajata와 Versalovic, 2013). 따라서 장내세균에 의해 비만이 될 수 있다는 주장들은 어느 정도는 근거가 있고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가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것은 장내세균들에 변화를 유도하여 가능해 지는 것으로 보인다.
맺음말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를 섭취하는 것이 다이어트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부 연구는 효과가 없는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50명의 비만인 사람들에게 L. salivaius LS-33를 캡슐 형태로 12주간 공급하였을 때 체중감소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Gobel 등, 2012). 또 58명의 비만 여성에게 L. paracasei N19를 작은포의 형태로 6주간 공급하였을 때 체중 감소 효과가 없었다(Brahe 등, 2015). 일부이긴 하지만 이렇게 상반되는 결과가 나오는 이유는 프로바이오틱스의 종류마다 그 효과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이 된다. 하지만 전체적인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프로바이오틱스들이 있고 이를 프리바이오틱스와 같이 섭취하게 되면 그 효과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적합해 보인다.
참고문헌
Andres R, Elahi D, Tobin JD, Muller DC, Brant L. 1985. Impact of age on weight goals. Ann. Intern. Med. 102: 1030-1033.
Brahe LK, Le Chaterlier E, Prifti E, Pons N, Kennedy S, Blaedel T, Hakansson J, Dalsgaard TK, Hansen T, Pedersen O, Astrup A, Ehrlich SD, Larsen LH. 2015. Dietary modulation of the gut microbiota—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in obese postmenopausal women. Br. J. Nutr. 114: 406-417.
Cani PD, Bibiloni R, Knauf C, Waget A, Neyrinck AM, Delzenne NM. 2008. Changes in gut microbiota control metabolic endotoxemia-induced inflammation i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and diabetes in mice. Diabetes. 57: 1470-1481.
Ferrarese R, Ceresola ER, Preti A, Canducci F. 2018. Probiotics, prebiotics and synbiotics for weight loss and metabolic syndrome in the microbiome era. Eur. Rev. Med. Pharmacol. Sci. 22: 7588-7605.
Gobel RJ, Larsen N, Jakobsen M, Molgaard C, Michaelsen KF. 2012. Probiotics to adolescents with obesity: effects on inflammation and metabolic syndrome.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55: 673-678.
Hansen BC. 2001. Causes of obesity and consequences of obesity prevention in non-human primates and other animal models. In: International Textbook of Obesity. Ed. Per B. John Wiley & Sons. pp 181-201.
Hemarajata P, Versalovic J. 2013. Effects of probiotics on gut microbiota: mechanisms of intestinal immunomodulation and neuromodulation. Therap. Adv. Gastroenterol. 2013. 6: 39–51.
Ivey KL, Hodgson JM, Kerr DA , Lewis JR, Thompson PL, Prince RL. 2014. The effects of probiotic bacteria on glycaemic control in overweight men and wome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Eur. J. Clin. Nutr. 68: 447-452.
Ivey KL, Hodgson JM, Kerr DA , Thomps on PL, Stojc eski B, Prince RL. 2015. The effect of yoghurt and its probiotics on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 profil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Nutr. Metab. Cardiovasc. Dis. 25: 46-51.
Jung SP, Lee K-M, Kang J-H, Yun S-I, Park H-O, Moon Y, Kim J-Y. 2013. Effect of Lactobacillus gasseri BNR17 on overweight and obese adults: A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trial. Korean J. Fam. Med. 34: 80–89.
Jung S, Lee YJ, Kim M, Kim M, Kwak JH, Lee JW, Ahn WT, Sim JH, Lee JH. 2016. Supplementation with two probiotic strains, Lactobacillus curvatus HY7601 and Lactobacillus plantarum KY1032, reduced body adiposity and Lp-PLA2 activity in overweight subjects. FEBS Open Biol. 6: 64-76.
Kadooka Y, Sato M, Imaizumi K, Ogawa A, Ikuyama K, Akai Y, Okano M, Kagoshima M, Tsuchida T. 2010. Regulation of abdominal adipocity by probiotics (Lactobacillus gasseri SBT2055) in adults with obese tendencies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uropean J. Clin. Nut. 64: 636-643.
Kim SW, Park KY, Kim B, Kim E, Hyun CK. 2013. Lactobacillus rhamnosus GG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and reduces adiposity in high-fat diet-fed mice through enhancement of adiponectin production. Biochem. Biophys. Res. Commun. 431:258–63.
Nathalie MD, Neyrinck AM, Bäckhed F, Cani PD. 2011. Targeting gut microbiota in obesity: effects of prebiotics and probiotics. Nature Rev. 7: 639-646.
Parekh PJ, Arusi E, Vinik AI, Johnson DA. 2014. The role and influence of gut microbiota in pathogenesis and management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Front Endocrinol (Lausanne). 5: DOI: 10.3389/fendo.2014.00047.
Principi N, Cozzali R, Farinelli E, Brusaferro A, Esposito S. 2018. Gut dysbiosis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The potential role of probiotics. J. Infect. 76: 111–120.
Roberfroid M, Gibson GR, Hoyles L, McCartney AL, Rastall R, Rowland I, Wolvers D, Watzl B, Szajewska H, Stahl B, Guarner F, Respondek F, Whelan K, Coxam V, Davicco MJ, Léotoing L, Wittrant Y, Delzenne NM, Cani PD, Neyrinck AM, Meheust A. 2010. Prebiotic effects: metabolic and health benefits. Br. J. Nutr. 104: S1-S63.
Rouxinol-Diasa AL, Pinto AR, Janeiro C, Rodrigues D, Marta Moreira, João Dias, Pedro Pereira. 2016. Probiotics for the control of obesity – Its effect on weight change. Porto Biomed. J. 1. DOI: 10.1016/j.pbj.2016.03.005.
Safavi M, Farajian S, Kelishadi R, Mirlohi M, Hashemipour M. 2013. The effects of synbiotic supplementation on some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a randomized triple-masked controlled trial. Int. J. Food Sci. Nutr. 64: 687-693.
Teixeira TFS, Grześkowiak KM, Salminen S, Laitinen K, Bressan J, Peluzio MCG. 2013. Faecal levels of Bifidobacterium and Clostridium coccoides but not plasma lipopolysaccharide are inversely related to insulin and HOMA index in women. Clin. Nutr. 32: 1017-1022.
Turnbaugh PJ, Ley RE, Mahowald MA, Magrini V, Mardis ER, Gordon JI. 2006. An obesity-associated gut microbiome with increased capacity for energy harvest. Nature: 444:1027-1031.
과학으로 풀어본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효능 (2) | 2020.05.08 |
---|---|
과학으로 풀어본 밀크씨슬(Milk thistle)의 간질환 개선, 항당뇨, 항노화 효능 (7) | 2020.04.30 |
과학으로 풀어본 차가버섯(Chaga mushroom)의 효능 (7) | 2020.04.20 |
과학으로 풀어본 마늘(Garlic)의 효능 (2) | 2020.04.16 |
과학으로 풀어본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의 알레르기(Allergy) 개선 효능 (4) | 2020.04.12 |
댓글 영역